🌟 추천글

티스토리 블로그에 www 형식의 개인 도메인을 연결하고, www 및 non-www 도메인 모두를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을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도메인 최적화: Non-WWW → WWW 변경기 (Cloudflare 연동)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며 SEO(검색엔진최적화) 효과를 극대화하고,
검색 노출 주소를 일관되게 유지하기 위해,
그동안 기본 도메인(xxxxx.tistory.com) 대신 **Non-WWW 개인 도메인(개인도메인.com)**을 연결하여 사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구글과 네이버 검색엔진이 같은 콘텐츠를
개인도메인.comwww.개인도메인.com으로 각기 다르게 인식할 가능성이 있고,
검색 색인 통일 및 Canonical URL 관리 측면에서 명확한 기준을 잡기 위해,
최근에는 도메인을 www.개인도메인.com 형식으로 변경하여 운영 중입니다.



티스토리는 공식적으로 www 서브도메인 기반의 도메인 연결을 우선 지원하며,
연결된 개인 도메인 한 개에만 SSL 인증서를 자동 발급해줍니다.

따라서 개인도메인.comwww.개인도메인.com을 모두 안전하게 HTTPS로 운영하려면,

Cloudflare와 같은 외부 DNS 서비스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 경우 별도의 비용 없이도 SSL 인증서를 자동 적용할 수 있으며,
https://개인도메인.comhttps://www.개인도메인.com 모두 보안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두 도메인이 모두 열리게 두면
검색엔진에는 중복 콘텐츠로 간주될 수 있는 위험이 있어
Cloudflare의 리디렉션 기능을 통해 아프리카.com 접속 시 www.아프리카.com으로 자동 이동되도록 설정을 최적화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실제로 경험한

  • Non-WWW 도메인을 사용했을 때의 Cloudflare DNS 설정

  • WWW 도메인으로 전환하면서 적용한 Redirect Rule 구성 방법

  • 그리고 설정 후 정상 연결 및 HTTPS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팁
    을 단계별로 공유드리겠습니다.


🔧 아래는 과거에 Non-WWW 도메인(개인도메인.com)을 연결했을 때의 DNS 설정 예시입니다.
Cloudflare 사용자라면 흐름을 참고해 보세요.

Non-WWW 도메인(africa.com)을 연결했을 때의 DNS 설정
Non-WWW 도메인(개인도메인.com)을 연결했을 때의 DNS 설정

🔁 1단계 – 티스토리에서 기존 도메인을 www 도메인으로 수정하기

먼저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왼쪽 하단에 위치한 [블로그] 메뉴로 이동한 뒤, 기존에 연결된 도메인을 새롭게 설정한 www 형식의 개인 도메인으로 수정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개인 도메인 설정 화면. 연결된 도메인은 www.도메인.com 형식이며, 보안 접속 인증서 항목에 ‘발급 완료’ 상태가 표시됨.
티스토리에서 www 개인 도메인 연결 후 SSL 인증서 발급 완료 화면

SSL 인증서는 개인 도메인 연결 후 30분 ~ 수 시간 기다리면 발급이 완료됩니다.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여유를 가지고 기다리시면 됩니다.  

🔁 2단계 – 기존 www CNAME 레코드 삭제하기

Cloudflare의 DNS 관리 화면에서,
기존에 설정되어 있던 CNAME www → host.tistory.io 항목을 삭제합니다.
이는 티스토리 기본 방식으로 연결된 www 도메인을 해제하고,
Cloudflare 기반의 새 연결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

해당 레코드를 삭제하지 않으면 도메인 충돌이나 리디렉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www 서브도메인을 Cloudflare에서 직접 제어하려는 경우 반드시 삭제해 주셔야 합니다.

✅ 삭제 방법:

  • 목록에서 TypeCNAME이고 Namewww, Contenthost.tistory.io인 레코드를 선택합니다.

  • 우측 상단의 [Delete 1 record] 버튼을 클릭하면 삭제됩니다.

Cloudflare DNS 설정 화면에서 CNAME 레코드 중 www 이름과 host.tistory.io 값을 가진 항목을 선택하고, 오른쪽 상단의 Delete 1 record 버튼을 눌러 삭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미지
Cloudflare에서 기존 CNAME www → host.tistory.io 레코드 삭제 예시

✅ 3단계 – A 레코드 및 CNAME 레코드 등록 (Cloudflare 기준)

아래 이미지처럼 DNS 설정 페이지에서 다음 항목들을 새롭게 추가하거나 수정합니다:

🔹 1. A 타입 레코드 등록

  • Type: A

  • Name: @ (도메인 루트)

  • Content: 192.0.2.1 (예시 IP, 그대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 Proxy status: Proxied
    → 주황색 구름 아이콘이 활성화되어야 함 (아주 중요합니다.)
    → 이렇게 설정하면 Cloudflare CDN 및 보안 기능이 적용됩니다.

🔹 2. CNAME 레코드 등록 (www 서브도메인 연결)

  • Type: CNAME

  • Name: www

  • Content: host.tistory.io

  • Proxy status: DNS only
    → 파란색 구름 아이콘 (비활성 상태)로 설정 (아주 중요합니다.)

Tip: 루트 도메인(A 레코드)은 Proxied로 설정하고, CNAME은 반드시 DNS only 상태여야 Tistory 연결에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Cloudflare DNS 관리 화면에서 A 타입과 CNAME 레코드가 설정된 모습. 루트 도메인은 proxied 상태이며, www는 host.tistory.io로 연결됨.
A 레코드 및 CNAME 레코드 등록 예시 (Cloudflare)


📌 추가 참고:

  • 등록 후 적용까지 약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후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홈(블로그)에서 [도메인 연결] 항목을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 만약 연결 실패 시, TTL을 Auto로 두고 잠시 기다린 후 재확인하거나, Cloudflare 캐시를 비우고 재시도합니다. (이런 과정 없이 대부분은 작동합니다.)

✅ 4단계 - DNS 설정 완료 확인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화면)

앞서 설명한 DNS 설정을 완료하면,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서 아래와 같이 DNS 설정 정보가 ‘확인 완료’로 표시됩니다.

🔍 예시 화면 설명

  • 개인 도메인: https://www.사용자도메인.com

  • DNS 설정 정보: ✔ 확인 완료 (파란색 화살표)

  • 보안 접속 인증서: ✔ 발급 완료

위와 같이 표시되면, 개인 도메인 연결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상태이며 블로그 접속 시 보안서버(https)로도 접근 가능합니다.


📌 유의사항:

DNS 설정 이후 적용되기까지 최대 24시간까지 소요될 수 있으며, TTL 설정이 짧을수록 빠르게 반영됩니다.

중간에 "DNS 설정 정보 확인 실패"가 뜰 경우, Cloudflare 설정값(특히 CNAME, Proxied 여부)을 재검토하세요.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DNS 설정 정보 - 확인 완료’가 표시된 모습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 DNS 설정 완료 화면 예시

⚠️ 5단계: non-www 도메인 접속 시 오류 발생 (Error 522)

이제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개인도메인.com을 입력해 접속해보세요.
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www 서브도메인에 대한 설정은 완료된 상태입니다.

그러나 www 없이 개인도메인.com으로 접속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Connection timed out"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오류 메시지

Connection timed out
Visit Cloudflare.com for more information
Error code: 522

Cloudflare 오류 페이지에 'Connection timed out'과 'Error code 522' 메시지가 표시된 브라우저 화면
루트(non-www) 도메인 접속 시 Error 522 발생 화면


📌 원인 설명

이 문제는 www가 없는 루트(non-www) 도메인(@)에 대해 A 레코드가 없거나, Cloudflare Proxy(주황색 구름) 설정이 누락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즉, 클라이언트가 Cloudflare까지는 연결되지만, 실제 웹 서버(=Tistory)까지는 연결되지 않아 522 연결 시간 초과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아래 마지막 단계를 거치면 이 문제는 해결 됩니다.

✅ 마지막 단계 – Root 도메인 → WWW 도메인 리디렉션 설정

이제 마지막으로, 아래와 같이 Cloudflare 리디렉션 규칙(Redirect Rule)을 설정하면
www.개인도메인.com 뿐만 아니라 non-www 도메인(루트 도메인)으로도 정상적인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 설정 예시 화면 (Cloudflare Bulk Redirects)

순번 규칙 이름 Match 조건 리디렉션 동작 상태
1 Redirect from Root to WWW URI Full wildcard https://개인도메인.com/* 301 redirect → https://www.개인도메인.com/$1 ✅ Active
2 Redirect from Root to WWW URI Full wildcard https://xn--[Punycode].com/* 301 redirect → https://www.개인도메인.com/$1 ✅ Active

(위 2번 경우는 한글.com 도메인 연결 시 Punycode로 별도로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한글.com 도메인이 아닌 대부분의 경우는 1번 설정 만으로 충분합니다.)

※ 두 개의 리디렉션 규칙은 각각 다음을 처리합니다:

  • 도메인의 일반형 주소 (개인도메인.com)
  • Punycode(국제 도메인 영문 표기: xn--...) 버전

📌 설정 요약 (아래 양식에 기입해야 할 내용입니다.)

  • Match against: https://개인도메인.com/*
  • Action: 301 redirect to https://www.개인도메인.com/$1
  • 적용 위치: Cloudflare → Rules > Bulk Redirects 또는 Page Rules

이렇게 설정하면 https://개인도메인.com으로 접속하더라도 자동으로 https://www.개인도메인.com으로 리디렉션되어 오류 없이 블로그가 정상 표시됩니다.


Cloudflare 리디렉션 규칙 설정 메뉴
Cloudflare 리디렉션 규칙 설정 메뉴

Cloudflare Bulk Redirects 메뉴에서 non-www 도메인 요청을 www 도메인으로 301 리디렉션하도록 설정하는 규칙 작성 화면. Wildcard 패턴, 요청 URL, 대상 URL 입력란이 포함됨.
Cloudflare에서 non-www 도메인을 www 도메인으로 리디렉션하는 규칙 설정 화면


Cloudflare 관리 페이지에서 두 개의 루트 도메인 리디렉션 규칙이 설정되어 있는 모습
Cloudflare 리디렉션 규칙 설정 완료 예시 (non-www → www)

🎉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www.개인도메인.com을 티스토리에 연결했기 때문에,
www 도메인은 물론이고 **non-www 도메인(개인도메인.com)**으로도 문제없이 블로그 접속이 가능해졌습니다. 🌐✅

처음엔 조금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단계별로 차근차근 따라 하신다면 절대 어렵지 않습니다. 😉


⏳ 적용에는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어요!

Cloudflare DNS 설정이나 리디렉션 규칙을 변경한 뒤에는
적용되기까지 수 분에서 수 시간 정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하게 여러 번 수정하기보다는,
잠시 느긋하게 기다려보는 여유가 더 좋은 결과로 이어집니다. 🧘‍♂️🌿


🙌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이 가이드가 여러분의 도메인 연결과 리디렉션 설정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더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찾아주세요! 😊


🔍 Google Search

👀 Top Views

🎁 개인·청년·소상공인·외국인 대상 정부지원금 종합 안내 - Government Support Funds in Korea

🔍 Blogger 블로그 URL 등록 – www와 non-www, 도메인 속성과 접두어 속성 중 최적의 선택은?

🛠️ 2025 예비창업패키지 - 아직 사업자등록 전이라면 꼭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