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도메인연결인 게시물 표시

티스토리 블로그에 www 형식의 개인 도메인을 연결하고, www 및 non-www 도메인 모두 무료 사용 방법

이미지
티스토리 블로그 도메인 최적화: Non-WWW → WWW 변경기 (Cloudflare 연동) 티스토리를 오래 운영하다 보면 “주소를 도메인.com 으로 둘 것인가, www.도메인.com 으로 통일할 것인가”가 반드시 한 번쯤은 고민으로 떠오릅니다. 저는 그동안 기본 도메인( xxxxx.tistory.com ) 대신 Non-WWW 개인 도메인(도메인.com) 으로 연결해 사용해 왔습니다. 다만 Google·Naver에서 동일 콘텐츠가 도메인.com 과 www.도메인.com 으로 분산 인식될 여지가 있고, 색인 통일·캔노니컬 관리·브랜드 일관성 측면에서도 WWW 기준이 더 명확하다고 판단해 최근에는 WWW 형식으로 전환 했습니다. 이 글은 그 실제 전환 과정과 Cloudflare 연동, 오류 해결, 리디렉션 규칙까지 한 번에 정리한 실전 가이드입니다. 티스토리 연결 방식 & SSL, 그리고 중복 신호 차단 티스토리는 www 서브도메인 연결을 우선 지원하며, 연결된 개인 도메인 1개에만 자동 SSL 을 발급합니다. 도메인.com 과 www.도메인.com 을 모두 HTTPS로 운영하려면 Cloudflare 같은 외부 DNS·프록시를 병행하면 편리합니다. 단, 두 주소가 동시에 열리면 검색엔진에 중복 시그널이 생길 수 있으므로 비선호 주소 → 선호 주소(WWW) 301 리디렉션 으로 통일해 주는 것이 안전합니다. 티스토리 도메인 연결 절차 전체 가이드 보기 이 글에서 다루는 핵심 Non-WWW 연결 당시 Cloudflare DNS 설정 흐름 WWW 전환 후 Redirect Rule 구성 및 테스트 오류 코드 522(루트 접속 실패) 원인과 해결 적용 확인, 대기 시간, 운영 ...

🔍 기본 도메인 vs 맞춤 도메인 Search Console 등록 시 삭제해야 할 속성 – 티스토리·블로거 SEO 전략

이미지
기본 도메인 vs 맞춤 도메인 Search Console 중복 등록, 왜 기본 도메인을 제거해야 할까? 블로그를 티스토리( yourID.tistory.com )나 블로거( yourID.blogspot.com )에서 시작했다가, 나만의 맞춤 도메인 (개인 도메인)을 연결하는 순간이 옵니다. 이때 Search Console(구글)이나 Naver 서치어드바이저에 기본 도메인과 맞춤 도메인을 동시에 등록 해두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SEO적으로 어떤 함정을 만들 수 있는지 아시나요? 📌 기본 도메인과 맞춤 도메인을 동시에 등록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 문제 설명 중복 색인 동일한 콘텐츠가 기본·맞춤 도메인 양쪽에서 색인되어, 검색 순위와 링크 가중치가 분산됩니다. Canonical 혼선 blogspot.com 또는 tistory.com 이 ‘원본’으로 잘못 인식될 수 있습니다. 광고 수익 손실 기본 도메인에서 발생한 클릭은 AdSense 정책상 유효 수익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GSC 데이터 왜곡 색인 오류, Sitemap 충돌, 클릭 데이터 분산 등 Search Console 통계 신뢰도가 떨어집니다. ✅ 기본 도메인 삭제, 정말 괜찮을까? 많은 분들이 ‘속성 삭제’가 블로그나 글 자체를 지워버리는 것으로 오해하지만, 사실은 전혀 아닙니다. Search Console이나 서치어드바이저에서 기본 도메인 속성을 삭제해도 색인, 게시글, 유입 에는 아무 영향이 없습니다. 이는 단순히 “이 Search Console 속성은 더 이상 모니터링하지 않겠다”는 의미일 뿐입니다. ...

📌 “중복 등록된 sitemap.xml 삭제해야 하나요?” Blogspot 기본 vs 맞춤 도메인 색인 전략 완전정리

이미지
📌 sitemap.xml, feed, RSS… 블로그스팟 기본 도메인과 맞춤 도메인 둘 다 등록해도 될까? - 이미 등록된 상태라면? 최적 전략 정리 Blogspot 기본 도메인( setupgold.blogspot.com )과 맞춤 도메인( www.setupgold.com )을 이미 모두 포털에 등록 했다면, 다음 단계는 sitemap·feed를 어디에 남기고 어디서 삭제할지 를 정확히 결정하는 일입니다. 아래 가이드는 Google·Bing·Naver·Daum 기준으로, 중복 색인을 방지하고 SEO 신호를 한 곳으로 모으는 “운영 기준 도메인 집중” 전략을 설명합니다. 사이트맵, 기본 도메인과 맞춤 도메인 둘 다 등록해도 될까? 특히 Google, Bing, Naver, Daum 이 각각 사이트맵·피드를 어떻게 해석하는지 이해하면, 색인 효율과 광고 수익까지 동시에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blogspot 기본/맞춤 도메인에서 sitemap과 RSS를 동시에 제출하면 색인이 분산될 수 있습니다. ✅ 기본 도메인과 맞춤 도메인을 모두 등록한 후, sitemap은 어떻게 관리할까? ✔ 핵심 원칙: 색인은 하나의 도메인 으로만 집중! Google·Bing은 어디에 sitemap/피드를 제출했는지를 신호로 활용합니다. 기본 도메인(blogspot)에 남은 sitemap은 canonical이 있어도 혼선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중복 색인, 평가 신호 분산, 트래픽/수익 추...

🚨 애드센스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 사이트 확인이 안될 때? 도메인 설정 하나로 해결하는 진짜 방법!

이미지
🚀 애드센스 코드·ads.txt·메타태그까지 넣었는데도 사이트 확인이 안 될 때 도메인 등록업체에서 A 레코드 4개 입력하면 해결됩니다! 아래 체크를 다 했는데도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메시지가 반복된다면, 대부분은 DNS(도메인) 설정 누락 이 원인입니다. 특히 루트 도메인 을 구글 서버로 정확히 안내하는 A 레코드 4개 가 빠져 있을 때 이런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애드센스에 블로그를 등록 <head> 에 메타태그 삽입 광고 코드 삽입 ads.txt 설정까지 완료… 그런데도 실패 👉 여전히 애드센스에서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만 보이나요? 사이트 소유권 확인하세요. 사이트 소유 여부 확인 방법(3가지) 사이트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 문제의 핵심은? DNS 설정 누락! 맞춤 도메인 사용 시, 애드센스는 해당 사이트가 실제로 구글 호스팅(Blogger 등)에 연결 돼 있는지 검사합니다. 하지만 등록업체의 DNS 화면에서 구글 서버용 A 레코드 4개 가 빠져 있으면 사이트 소유 확인이 반복 실패합니다. 검토 필요 : 사이트가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검토 요청 을 클릭하여 검토 프로세스를 시작하세요. 또는 사이트가 비활성 상태여서 추가 검토가 필요합니다. 비활성 사이트의 검토를 요청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