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이트인증인 게시물 표시

🔍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 콘솔 등록 완벽 가이드 (최신판): 도메인 속성 vs URL 접두어 완전 해설

이미지
도메인 속성은 왜 안 되고, URL 접두어 방식만 가능한가? 초보자를 위한 인증 절차 및 메타 태그 삽입 팁 총정리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 할 때, ‘도메인 속성’과 ‘URL 접두어 속성’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이 질문은 티스토리 블로그를 처음 Search Console에 연결하려는 분들이 가장 많이 묻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는 방법 ❌ 티스토리는 '도메인 속성'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기본 주소( yourblog.tistory.com )는 도메인 소유권이 카카오(티스토리) 측에 있기 때문 입니다. 도메인 속성 방식은 DNS TXT 레코드 인증이 필수이며, 이는 도메인 관리 권한 이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 도메인 속성 인증 = DNS 레코드 추가 가능해야 함 (GoDaddy, 카페24, 호스팅케이알 등에서만 가능) 하지만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은 우리의 소유가 아니기 때문에 DNS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도메인 속성 방식은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 URL 접두어 방식이 정답인 이유 티스토리 블로그 등록에는 ‘URL 접두어 방식’ 이 유일하고 최적의 선택입니다. 이 방식은 전체 블로그 URL( https://yourblog.tistory.com )을 직접 입력하고, HTML에 메타 태그를 삽입하는 방식이므로 DNS 권한이 필요 없습니다. URL 접두어 방식 선택 HTML 태그 삽입은 티스토리 관리자 → 스킨 편집 → HTML 편집 에서 가능하며, 코드 위치는 <head> 바로 아래나 </head> 직전이 적절합니다. 🎯 인증 절차 요약 Google Search Console 접속 URL 접두어 방식 선택 https:/...

미사용 소유권 토큰 1개 감지됨? Search Console 알림의 의미와 삭제해도 되는지 완전 정리

이미지
🛠️ Search Console에 남아 있는 ‘미사용 소유권 토큰’, 삭제해도 될까? 📌 개요 Google Search Console에 접속했더니, “ 미사용 소유권 토큰 1개 감지됨 ”이라는 알림이 떴습니다. 이거, 삭제해도 될까? 아니면 보관해야 하는 걸까? 많은 블로그 운영자와 웹사이트 관리자들이 헷갈려하는 대목이죠. 이 글에서는 ‘미사용 소유권 토큰’의 의미 , 삭제해도 되는지 여부 , 그리고 생성 원인과 실무 기준 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미사용 소유권 토큰 1개 감지됨 🔍 미사용 소유권 토큰이란? ‘미사용 소유권 토큰’ 은 과거 Search Console에서 도메인 소유권을 인증할 때 사용했던 임시 인증 정보 입니다. 일반적으로 아래 방식 중 하나로 소유권을 확인하면 토큰이 생성됩니다. 도메인 등록기관(Registrar) 인증 DNS TXT 레코드 인증 (필자의 사례) HTML 파일 업로드 인증 Google Analytics / Tag Manager 연동 인증 이후 인증 방식을 바꾸거나 관리 계정이 달라지면 기존 토큰이 ‘미사용’ 상태로 전환 되지만, Search Console 기록에는 남습니다. 미사용 소유권 토큰 1개 감지됨 🧭 왜 이런 일이 생길까? 원인 설명 과거 도메인 인증 이력 Registrar 또는 DNS 인증을 진행하면 Google이 식별용 인증 토큰을 생성합니다. 인증 방식 변경 HTML 업로드, DNS TXT, GA/GTM 등으로 방식을 바꾸면 기존 토큰은 ‘미사용’으로 표기됩니다. Google의 보관 정책 보안/호환성 이유로 생성 이력은 보관됩니다. 삭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