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글
💬 HTML 주석 완전정복 – 삭제 없이 숨기고 복원하는 똑똑한 블로그 관리법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HTML 주석의 모든 것 – ‘보이지 않지만 남겨두는’ 똑똑한 활용법
‘주석(注釋, Comment)’은 화면에 표시되지 않지만 코드 속에 살아 있는 기록입니다. 블로그, 웹페이지, HTML 문서 어디에서나 쓰이며, 작업 중인 자신이나 협업자에게 메시지를 남기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Blogger나 Tistory처럼 직접 HTML을 다루는 블로거에게는 ‘삭제 대신 보존’의 기술로 매우 유용하죠.
1️⃣ 주석(Comment)이란?
주석은 프로그램이나 HTML 코드 안에서 컴퓨터가 무시하는 부분입니다. 즉, 브라우저는 주석을 렌더링하지 않고, 사용자 화면에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개발자도구(F12)로 페이지 소스를 보면 그 내용은 그대로 남아 있어요. 이는 나중에 수정하거나 복원할 때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HTML에서 주석을 작성할 때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합니다.
<!-- 여기가 주석입니다. 화면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
  2️⃣ 주석의 주요 목적과 장점
- ① 코드 이해도 향상 – 나중에 자신이나 다른 편집자가 봐도 쉽게 맥락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② 임시 비활성화 – 삭제하지 않고도 화면 노출만 숨길 수 있습니다.
- ③ 수정 이력 관리 – 변경 전 문장을 주석으로 남겨두면 나중에 비교가 가능합니다.
- ④ SEO 실험용 – 특정 구문을 주석처리 후 검색 반응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즉, 주석은 삭제보다 유연하고 복원 가능한 ‘보존형 비활성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실제 사용 예시 – 일부 내용만 비노출 처리
HTML 문서의 특정 구간을 숨기고 싶을 때, 삭제 대신 다음처럼 감싸면 됩니다.
<!--
      <h3>🔖 해시태그 (TAGS)</h3>
      <p>#카카오톡 #HTML #주석 #보존처리</p>
    -->이렇게 하면 본문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HTML 소스에는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이 방식은 특히 Blogger, Tistory처럼 HTML 편집 기반 블로그에서 기존 콘텐츠를 잠시 숨길 때 자주 사용됩니다.  
  나중에 다시 표시하려면 <!--과 -->만 제거하면 됩니다.
3.5️⃣ “// …” 방식도 주석인가요?
결론: HTML 본문에서는 아닙니다. // 한 줄 주석은 JavaScript에서만 유효하고, CSS는 /* ... */ 형식을 사용합니다.  
  HTML에서는 오직 <!-- ... -->만 주석으로 인정돼요.
<!-- HTML 주석 -->
    // 한 줄 주석
/* 여러 줄 주석 */
    /* 스타일 설명 주석 */
    주의: HTML 본문에서 //를 쓰면 브라우저는 주석으로 보지 않고 그대로 텍스트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비노출하려면 반드시 <!-- ... -->를 사용하세요.
4️⃣ ‘삭제’ 대신 ‘주석 처리’의 진짜 가치
많은 초보 블로거가 글을 수정할 때 바로 삭제를 선택하지만, 그건 흔히 ‘되돌릴 수 없는 선택’입니다. 반면 주석은 데이터를 지우지 않으면서도 깔끔히 숨길 수 있기 때문에, 수정 중 실수 방지와 복구 시 시간 절약에 탁월합니다.
예를 들어, 광고·CTA·이미지 코드 일부를 테스트 중이라면?  
  코드 오류를 피하면서도 ‘보이지 않게’ 숨겨둘 수 있죠.  
  Blogger나 티스토리 모두 <html> 내부의 콘텐츠에 주석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SEO(검색 색인)과 주석의 관계
많은 분들이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 “주석 속 내용도 검색에 영향을 줄까?” 결론: 검색엔진은 주석을 무시합니다. 따라서 주석 안 텍스트는 색인(index)에 반영되지 않아요.
하지만 향후 복원을 고려한다면, 주석으로 원문을 보존해 두는 것이 기록과 비교에 매우 유리합니다.  
  SEO 실험은 주석이 아니라 실제 <meta>·<title>·본문 텍스트 변경으로 진행하세요.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주석을 많이 써도 페이지 속도가 느려지나요?
  A. 거의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대용량 HTML에서는 약간의 용량 증가가 있을 수 있습니다.
Q2. 주석 안에 스크립트나 태그를 넣어도 되나요?
  A. 가능합니다. 단, 태그 중첩 구조(<!-- 안의 <div> 등)는 꼭 짝이 맞아야 렌더링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Q3. 검색엔진이 주석 내용을 색인하나요?
  A. 아니요. Google, Bing, Naver 모두 HTML 주석은 색인하지 않습니다.
Q4. 블로그 본문에서는 주석이 풀릴 수 있나요?
  A. 네, WYSIWYG(시각 편집기)에서는 자동으로 주석이 풀릴 수 있으니 반드시 HTML 모드에서 수정 후 저장하세요.
7️⃣ 정리: 주석은 ‘삭제하지 않고 배우는 안전장치’
HTML 주석은 단순한 메모가 아니라, 수정·테스트·보존·복구의 전 과정에서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불필요한 내용은 숨기되, 언제든 되살릴 수 있게 남겨두세요. 블로그 관리가 깔끔해지고, 실수로 데이터를 날릴 위험도 줄어듭니다.
삭제보다 주석! 화면에는 사라지지만, 당신의 기록과 노하우는 그대로 남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이 글은 HTML 주석을 실무적으로 활용하려는 블로거와 웹초보자를 위한 가이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