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글
Google Search Console 등록할 때 당신이 모를 수도 있는 중요한 선택 – Domain vs URL!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Google Search Console에 사이트 등록 시 어떤 방식이 유리할까?
— 도메인 속성 vs URL 속성, SEO 최적의 선택은?
📌 요약 (Summary)
Google Search Console에 사이트를 등록할 때, **도메인 속성(Domain property)**과 URL 접두어 속성(URL prefix) 중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할까요? 이 포스팅에서는 두 가지 방식의 차이점, SEO 관점의 장단점, 그리고 실전 등록 팁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1. 도메인 속성과 URL 속성이란?
항목 | 도메인 속성 (Domain property) | URL 접두어 속성 (URL prefix) |
---|---|---|
등록 예시 | yourdomain.com | https://www.yourdomain.com |
포함 범위 | 모든 서브도메인과 프로토콜 포함 | 입력한 URL만 추적 |
인증 방식 | DNS TXT 레코드 설정 필요 | HTML 파일, 태그 삽입, GA 연동 등 |
구글 권장 여부 | ✅ 공식 권장 | ❌ 보조용으로 권장 |
🔍 2. 도메인 속성이 더 유리한 3가지 이유
✅ 1) 모든 버전을 한 번에 통합
도메인 속성은 다음과 같은 모든 버전을 자동으로 포함합니다:
-
https://yourdomain.com
-
http://yourdomain.com
-
https://www.yourdomain.com
-
m.yourdomain.com
등 서브도메인 포함
✅ 2) SEO 데이터 분석 효율 극대화
-
검색 성능, 색인 현황, 모바일 사용성, 크롤링 에러 등
사이트 전체 데이터를 통합 대시보드에서 관리 가능 -
중복 콘텐츠, 서브도메인 누락 이슈도 쉽게 탐지
✅ 3) 구글이 공식적으로 권장
Google Search Console 공식 가이드에서도 다음과 같이 명시합니다:
“도메인 속성은 도메인의 모든 데이터(서브도메인, http/https 등)를 통합적으로 수집할 수 있어 권장됩니다.” — Google Search Central
🛠️ 3. 등록 방법 요약
🔹 도메인 속성 등록 방법
-
Search Console 접속 → ‘도메인’ 속성 선택
-
yourdomain.com
입력 (www 없이) -
도메인 DNS 설정에 접속 → TXT 레코드 추가
-
인증 완료 후 모든 버전 통합 관리 가능
🔸 URL 속성 등록 방법
-
예:
https://www.yourdomain.com
-
인증 방식: HTML 파일 업로드, meta 태그 삽입, Google Analytics 연동 등
-
입력한 정확한 주소만 추적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도메인 속성 등록이 어려우면 어떻게 하나요?
👉 우선 URL 접두어로 등록하고, 추후 DNS 설정이 가능할 때 도메인 속성으로 전환하세요.
Q2. 도메인 속성과 URL 속성을 함께 등록해도 되나요?
👉 네. 같은 사이트라도 둘 다 등록 가능하며,
URL 속성은 sitemap 제출 등 세부 관리를 위해 보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Q3. www.yourdomain.com
만 등록하면 yourdomain.com
도 추적되나요?
👉 아니요. URL 속성은 정확한 주소만 추적하므로, 두 주소 모두 등록하거나
처음부터 도메인 속성으로 등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 결론: 어떤 속성이 SEO에 더 유리할까?
항목 | 도메인 속성 | URL 속성 |
---|---|---|
SEO 분석 범위 | ✅ 전체 도메인 | ❌ 제한적 |
중복 등록 필요 여부 | ❌ 없음 | ✅ URL별 개별 등록 필요 |
인증 복잡도 | 🔺 DNS 설정 필요 | 🔻 쉬운 인증 |
✍ 마무리 팁
-
사이트 규모가 크거나 SEO를 중요하게 여긴다면 반드시 도메인 속성으로 등록하세요.
-
DNS 설정이 어렵다면 URL 속성으로 시작한 뒤 점차 도메인 속성으로 확장하는 전략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