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글
❗Blogger 맞춤 도메인 연결 시 CNAME 값이 안 보인다면?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맞춤 도메인 연결했는데도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해결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 Google Search Console에서 수동 확인하고 DNS 설정하는 방법
Blogger에서 맞춤 도메인(
www.yourdomain.com) 연결 시, 원래 보여야 할 CNAME 레코드 2개 안내가 없이 저장 화면만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당황하지 말고 Google Search Console → 소유권 인증 세부정보에서 CNAME 라벨/값을 확인한 뒤,
    도메인 등록기관(gabia, hosting.kr, whois 등)의 DNS에 수동으로 등록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증상 예시: CNAME 정보 없이 바로 도메인 저장 시도
| .png)  | 
| 맞춤 도메인 연결 과정 - CNAME 정보 없이 바로 도메인 저장 되는 경우 있음 | 
- Blogger 설정 > 맞춤 도메인 입력
- www.example.com입력
- 원래는 CNAME 설정 정보가 나와야 하는데…
- 아무 안내 없이 저장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거나, 에러 없이 넘어감
|   | 
| DNS(도메인 이름 시스템) 설정용 CNAME 2개 | 
🔍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 1. CNAME 레코드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이전 연결 이력이 남아 있거나, 이미 DNS에 ghs.google.com(또는 ghs.googlehosted.com) 관련 CNAME이 설정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 2. Google Domains 사용 시 자동 연결
Google에서 등록한 도메인은 Blogger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CNAME을 설정합니다.
✅ 3. 프록시 서비스(예: Cloudflare) 사용 시 간헐적 인식 오류
Cloudflare의 프록시(주황 구름) 기능이 CNAME 확인을 차단해 Blogger 쪽에서 레코드 표시를 건너뛰는 경우가 있습니다.
✅ 해결 방법: Search Console에서 CNAME 값을 수동 확인하자
Search Console의 소유권 인증 세부정보에서 CNAME 라벨과 목적지 값을 정확히 확인한 뒤, 도메인 등록기관 DNS에 그대로 추가합니다.
▶ 확인 경로
1. Google Search Console 접속 → 2. 좌측 하단 설정 → 3. 사용자 및 권한 > 소유권 인증 세부정보 진입 → 4. DNS(CNAME) 라벨/값 확인
|   | 
| Search Console에서 CNAME 값을 수동 확인 | 
|   | 
| 사용자 및 권한 → 소유권 인증 세부정보 | 
|   | 
| 소유권 인증 세부정보 | 
🛠 다음 단계: 도메인 등록기관에 CNAME 수동 등록하기
Search Console에서 확보한 CNAME 값을 가지고, 도메인을 구매한 사이트(gabia, hosting.kr, whois 등) DNS 관리에 그대로 추가합니다.
▶ 설정 예시 (gabia 기준)
| 항목 | 값 | 
|---|---|
| 타입 (Type) | CNAME | 
| 호스트 (Host) | www또는abcd1234 | 
| 값 (Value) | ghs.googlehosted.com또는 지정된 목적지 | 
📌 CNAME 등록 후 체크리스트
    ✅ https://www.yourdomain.com 접속 시 블로그가 열리는지 확인
    ✅ Blogger 설정에서 도메인 리디렉션 토글 활성화 확인
    ✅ Google Search Console 속성 연결(도메인/URL 접두어) 및 색인 정상화 확인
  
💡 추가 팁: 루트 도메인도 리디렉션 설정하기
- yourdomain.com→- www.yourdomain.com자동 이동을 원하면, 등록기관 A 레코드와 Blogger의 리디렉션 설정을 함께 구성하세요. (별도 포스팅 예정)
✅ 마무리 요약
- Blogger에서 CNAME이 표시되지 않아도 Search Console → 소유권 인증 세부정보에서 CNAME 라벨/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확인한 값을 등록기관 DNS에 수동 등록하면 대부분 수 분~수 시간 내 연결이 완료됩니다.
- 프록시/캐시(Cloudflare 등) 사용 시에는 프록시 해제 후 전파를 기다리세요.
문제가 지속되면, 기존 CNAME 충돌 여부와 루트/서브 도메인 혼용 설정을 재점검해 주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이 가이드를 따라 설정하면,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오류도 깔끔히 정리됩니다. 오늘 바로 점검해 보세요.
 
 
